투자

제약 바이오 투자를 위한 기초 개념 - 2부: 주요 플레이어

ㅍㄹㅈㅂ 2024. 8. 15. 23:22
반응형

1. 제약 바이오 산업의 주요 기업 유형

 

1) 빅 파마(Big Pharma)

 : 대규모 제약회사로,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들이다.

 : 연구 개발(R&D) 능력이 뛰어나고, 기존의 블록버스터 약물을 보유하고 있으며, 광범위한 시장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.

 - 대표 기업: Pfizer, Johnson & Johnson, Roche, Novartis, Merck 등.

 

 

2) 바이오테크(Biotech) 기업

 : 생물학적 과정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들로, 일반적으로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연구하고 개발.

 : 주로 임상 시험 초기 단계에서의 성공 가능성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.

 - 대표 기업: Amgen, Gilead Sciences, Regeneron, Biogen, Moderna 등.

 

 

3) 제네릭(Generic) 제약사

 :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의 복제약을 생산하는 기업들로,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동일한 효능을 제공하는 약물을 제조한다.

 :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며, 가격 경쟁력에 강점이 있다.

 - 대표 기업: Teva Pharmaceuticals, Mylan (현 Viatris), Sandoz (Novartis의 자회사) 등.

 

 

4) 바이오시밀러(Biosimilar) 제약사

 : 기존의 바이오 의약품과 유사한 복제 약물을 개발하는 기업.

 : 바이오 의약품의 특허 만료 후 시장에 진입하여, 비용을 절감한 유사 약물인 바이오시밀러를 판매한다.

 :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인 바이오에피스, 셀트리온으로 한국의 투자자에게 익숙한 부문.

 - 대표 기업: Samsung Bioepis, Celltrion, Amgen (바이오시밀러 부문) 등.

 

 

5) 계약 연구 기관(CRO,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)

 : 제약 및 바이오 기업의 임상 시험을 대행하는 기관으로, 임상 시험의 설계, 실행, 모니터링 등을 수행.


 - 대표 기업: IQVIA, Covance, PPD, Charles River Laboratories 등.

 

 

6) 계약 제조 업체 (CMO,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) 및 CDMO (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)

 : 제약 및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을 위탁받아 진행하는 기업.

 : 마치 반도체 사업의 파운드리 분야와 유사하다.

 - 대표 기업: Lonza, Samsung Biologics, Catalent, WuXi AppTec 등.

 

 

 

 

2. 주요 기업들

1. Pfizer (화이자)

 - 글로벌 제약업계의 선두주자.

 - 백신, 항암제, 희귀 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보유.

 - COVID 19 백신 개발로 크게 성공.

 - 제약 분야의 인수합병 분야를 주도.

 


2. Roche (로슈)
 - 항암제, 진단 분야에서 강력한 포지션.

 - 항체 치료제, 개인 맞춤형 치료제,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포커스 중.

 - 암 치료제 시장의 리더.

 

 

3. Amgen (암젠)

 - 바이오테크 분야에서 선두.

 - 항체 기반 치료제, 면역 항암제, 유전제 치료제 개발에 포커스 중.

 


4. Gilead Sciences (길리어드 사이언스)
 - 항바이러스제, 특히 HIV 및 간염 치료제에서 강력한 포지션을 구축함.

 - 항암제 및 면역 치료제 개발로 확장 중.

 

 

5. Samsung Biologics (삼성바이오로직스)

 - CMO 및 CDMO 분야에 집중.

반응형